본문 바로가기

짬짬이 여행138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제78화 보배롭다, 그 이름 – 경남 진주 / 문화와 상업, 교육의 중심지, 한옥경로당, 옛날 과자 집, ‘촉석루와 의기(義妓) 논개’, 까꼬실마을 제 78화 보배롭다, 그 이름 – 경남 진주 / 2020년 6월 27일 19:10 방송 예로부터 거대한 남강을 통로 삼아, 문화와 상업, 교육의 중심지가 된 진주. 시대가 바뀌어도 여전히 옛 것의 가치를 기억하고 지켜가는 이웃들이 있는 곳이다. 천년의 시간이 흐르는 남강과 호국충절의 역사가 새겨진 진주성을 바라보며, 배우 김영철은 비로소 진주에 왔음을 실감한다. 그 이름처럼 영롱한, 동네 곳곳에 숨겨진 보배들을 찾아서 78번째 여정을 시작한다. ▶경로당마저 기품 있다! 대한민국 제1호 한옥경로당 평범한 주택가를 걷던 배우 김영철은 입이 떡 벌어지는 자태의 한옥고택 경로당을 발견한다. 커다란 나무대문을 열고 들여다보면, 오래된 돌계단 위 대청에서 동네 어머님과 아버님들이 삼삼오오 모여 여유를 즐기고 있다... 2020. 6. 27.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제' 41화. 추억하다 기찻길 옆 동네 - 서울 한강로동 2019년 9월 21일 19:10 방송 제41화. 추억하다 기찻길 옆 동네 - 서울 한강로동 고층 빌딩들이 병풍처럼 둘러싼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이런 풍경을 만날 줄이야. 땡땡 소리가 울리면 동네를 가로지르는 기차와 철도건널목, 나지막한 구옥들과 겨우 한 사람이 지나갈만한 좁은 골목... 예스럽고 정겨운 풍경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이곳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동이다. 사람도 풍경을 닮는 것일까. 인생의 긴 철로를 지나 한강로동에 정착한 주민들의 일상은 더 친근하고 따뜻하다. 옛 서울의 모습이 남아있고 여전히 그 시절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는 서울 한강로동에서 배우 김영철의 마흔 번째 가 시작된다. □ ‘땡땡 거리’의 분주한 아침 철도 건널목은 서울에도 몇 군데가 있지만, 한강로동의 건널목이 더 특별한 이유가 .. 2020. 6. 23.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제 77화 기품 있다 역사길 - 경남 김해 제77화. 기품 있다 역사길 – 경남 김해 남아있는 기록이 거의 없어 고대 역사의 미스터리로 알려진 ‘가야 문명’은 물론 청자, 백자와 함께 소박하고 자유로운 조형미(美)를 보여주는 문화유산 ‘분청도자기’까지, 유구하고 기품 있는 역사를 품고 있는 곳. 바로 경남 김해다. 일흔일곱 번째 여정은 역사도시 김해에서 오랜 세월 삶의 유산을 지켜가는 사람들을 만나러 떠난다. ▲ 2,000년 가야 역사를 품은 김해, 도심 속 유물 발굴 현장 부산과 김해를 잇는 특별한 이동수단, 경전철을 타고 동네 한 바퀴 출발하는 배우 김영철. 고가도로를 따라 김해 시내를 관통하는 ‘달리는 전망대’ 경전철을 타고 도심 한복판 ‘가야의 거리’에 도착한다. 가야 문명의 조형물들을 둘러보던 중 우연히 만난 유물 발굴 현장, 최근 발견.. 2020. 6. 19.
걸어서 세계속으로 - [347-348회]고갱이 사랑한 이브의 땅 - 타히티 1, 2부 [347회]고갱이 사랑한 이브의 땅 - 타히티 1부 ◆ 방송일: 2013년 6월 22일 (토) 오전 09:40 KBS 1TV ◆ 촬영․글․연출: 김기표 PD 남태평양 중심지, 폴리네시아 118개의 섬 가운데 가장 큰 섬, 타히티. 누구나 한번쯤 가보고 싶어 하는 곳으로 아름다운 자연과 소박하고 친절한 사람들이 살고 있는 세계적인 휴양지다. 투명한 하늘과 청록색의 바다, 푸른 숲이 어우러진 자연 속이미지 삽입/편집에서 살아가는 타히티 사람들의 소박한 삶을 만나본다. 태평양에 널리 퍼져있는 민속춤의 원조, 타무레는 타히티의 전통 민속춤이다. 최고의 타무레 무용수가 꿈인 타히티 소녀들의 연습현장을 찾아가 보고, 원시에 대한 동경으로 타히티를 사랑한 고갱의 발자취를 따라가 본다. 고갱도 반한 파라다이스, 타히티.. 2020. 6. 16.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제76화. 수려하다! 소백산 아랫마을 – 충북 단양 굽이굽이 흐르는 남한강과 소백산이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 같은 풍경을 자랑하는 단양. 그러나 1985년 충주댐 건설로 2,700여 가구가 살던 마을을 떠나 새로운 터전에서 삶을 일궈나가야만 했다. 일흔여섯 번째 여정 소백산 자락 아래에 굳건하게 삶을 일궈나가는 사람들을 만나다. ▲ 만개의 골짜기와 천 개의 봉우리를 볼 수 있는 곳, 만천하 스카이워크 해발 320m 높이에 설치된 만천하 스카이워크. 이곳에 서면 강원도 영월에서 흘러들어 충주호를 향해 가는 남한강과 소백산이 함께 만들어낸 절경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수려한 자연경관 앞에 저절로 겸허해지는 곳, 만천하 스카이워크에서 동네 한 바퀴의 첫걸음을 시작한다. ▲ 단양의 하늘길을 만난다. 단양읍을 걷던 김영철을 가장 먼저 반기는 것은 바로 하늘 .. 2020. 6. 6.
여수 여행 - 여수 고소동 벽화마을 여행, 여수 천사 벽화골목 탐방, 허영만 선생의 벽화갤러리 천사벽화마을 여수에서 가장 오래된 자연부락인 고소동의 언덕에 자리한 곳으로 2012 EXPO때 담벼락에 벽화를 채우고 지리적인 이점을 활용해 관광명소화했다고 한다. 진남관부터 고소동 언덕을 지나 여수해양공원에 이르는 길이가 1004m여서 천사벽화골목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골목은 9개구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구간마다 주제가 정해져 있다. 여수엑스포 주제인 '해양'에 관련된 이야기 등 여수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그림을 담고 있다. 언덕에 위치해서 돌산대교, 거북산대교 등이 보이며 바다뷰가 멋지다. 곳곳에 예쁜 카페들이 많으며 벽화 그림과 바다 경치까지 사진찍기에는 최적의 곳이디. 해질녘에 와서 멋진 노을과 함께 마을을 구경하고 바로 근처에 있는 낭만포차에서 시원하게 맥주 한잔 들이키는 것도 좋다. 주민들.. 2020. 6. 3.
여수 여행 - 전라좌수영 거북선이 우뚝 서있는 여수 '이순신광장' 저녁에 도착해서 처음 도착한 곳이 '이순신 광장'입니다. 숙소도 정하지도 못하고 떠난 여행이라 숙소 잡느라 고생 좀 했습니다. 여행 전에 모든 것을 체크해야 되겠습니다. 잘 일아서 하시겠지만 바쁘게 준비하다 보면 숙소를 잘못 정하고 실망이 클 수도~ 남해 해안의 중간에 위치한 아름다운 도시 여수. KTX가 생겨서 서울에서 여수까지는 3시간이면 갈 수 있게 되었다. 여수는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임진왜란 당시 전라좌수영이 여수에 있었으며 전라좌수사였던 이순신 장군은 이미 여수에서 거북선을 건조하여 일본의 침략에 대비했다고 한다. 그리고 여수에서 경상도 남해안으로 진출하면서 왜의 수군을 크게 격퇴했다. 2017년 여수의 관광객은 1,508만 명으로 전국 시·군 중 1위였습니다. '여수 밤바.. 2020. 6. 3.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제46화. 이웃이 좋다 도봉산 아랫마을 – 서울 창동·도봉동 제46화. 이웃이 좋다 도봉산 아랫마을 – 서울 창동·도봉동 10월 26일 토요일 저녁 7시 10분 서울 북쪽 끝, 우뚝 솟은 도봉산이 넓게 펼쳐진 도봉구. 이곳엔 도심에서는 보기 드문 정겨운 풍경만큼이나 살가운 이웃들이 살고 있다. 도봉산의 너른 품 안에 숨어 보석처럼 반짝이는 동네, 창동·도봉동에서 의 마흔여섯 번째 여정을 시작한다. ▶ 서울특별시골! 무수골 아파트 숲에서 몇 킬로미터 남짓. 도봉산의 골짜기를 따라가면 시간을 거슬러 오른 듯, 예스러운 산골 마을이 나타난다. 너럭바위로 이뤄진 맑은 천, 김장 배추가 자라는 넓은 밭... 웅덩이에 고인 물처럼 시간이 머물러 있는 도봉산의 속살. 그 가장 깊숙한 곳에서 배우 김영철은 밤나무를 털고 있던 특별한 사람들을 만난다. 이들은 세종대왕의 17번째 .. 2020. 6. 3.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제47화. 오래봐야 아름답다 – 서울 정릉동, 삼선동 제47화. 오래봐야 아름답다 – 서울 정릉동, 삼선동 가을이 물들고 있는 북한산. 북한산 자락 아래 자리 잡은 동네 정릉동, 삼선동이 있다. 과거 한국전쟁을 피해 피난민들은 이곳에 들어와 둥지를 틀었고, 만두와 떡 등을 팔며 실향에 대한 아픔을 달랬다는데. 이제는 대학교들이 밀집되어 있어 젊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동네가 되었다. 오래된 동네 주민들과 젊은 사람들이 서로 어우러져 따뜻한 정을 피워내고 있는 동네, 서울 정릉동, 삼선동에서 마흔 일곱 번째 여정을 시작한다. ▲ 문이 열려 있는 마을, 정원이 가득한 주택단지 가장 먼저 배우 김영철의 발길이 닿은 곳은 정릉동의 주택단지. 골목마다 꽃들이 가득하고, 정원이 딸린 집들은 커다란 대문도 활짝 열려 있는데. 대문을 활짝 열고 꽃을 심고 있는 주.. 2020. 6. 2.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제48화. 푸르다 그 이름 – 울산 중앙동·태화동 제48화. 푸르다 그 이름 – 울산 중앙동·태화동 한때 바지락과 재첩이 넘쳐나던 풍요의 강, 태화강은 1960년대 산업화로 몸살을 앓으며 한때 '죽음의 강'이란 오명을 쓰기도 했다. 그런데 태화강이 다시 푸르게 일렁이기 시작한다. 울산 주민들의 자발적 노력으로 푸른빛을 되찾은 강은 사람들에게 활기와 즐거움을 불어넣는다. 물, 숲, 사람까지 다시 푸르게 빛나는 동네, 울산광역시 중앙동, 태화동에서 마흔 여덟 번째 여정을 시작한다. ▶ 태화강,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정원이 되다 울산 주민들은 1990년대부터 태화강 살리기에 적극 동참하면서 기적 같은 변화를 이뤄냈다. 태화강은 이제 ‘전국 최대 규모의 철새 도래지’, ‘연어와 수달이 돌아오는 생명의 강’이란 새로운 이름으로 불리는데, 그 노력 덕분일까. 이곳은.. 2020. 6. 2.
김영철의 동네한바퀴 제75화. 다시 꿈꾸다 – 서울 구로구편 제 75화 다시 꿈꾸다 – 서울 구로구편 KBS-1TV 2020년 6월 6일 토요일 저녁 19시 10분 1967년부터 1990년대까지 대한민국의 산업화 중심지였던 서울 구로구. 지금은 고층 빌딩 숲이 자리 잡고 있지만,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골목이 공존하는 동네다. 벌집처럼 다닥다닥 붙은 집 사이에 남아있는 옛이야기를 만날 수 있고, 또 변화한 일터이자 보금자리에서 새로운 꿈을 키우는 사람들이 있는 곳. 다시 꿈꾸고 있는 동네, 서울 구로구로 일흔다섯 번째 여정을 시작한다. ▶ 공장촌에서 빌딩 숲이 된 “G밸리 출근길”에서 시작하는 서울 구로구 한 바퀴 1967년에 만들어진 국내 최초의 수출산업 공업단지, 구로공단. 50여 년 동안 한국 경제 성장을 이끌어오던 구로공단이 1990년대에 서울디지털산업단.. 2020. 5. 31.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제74화. 수원시 팔달구, 장안구 - 유구하다 왕의 동네 제 74화 유구하다 왕의 동네 - 수원시 팔달구, 장안구 KBS 1TV 2020년 5월 30일 토요일. 저녁 19시 10분 (~ 20:00) 戶戶富實 人人和樂. 집집마다 부유하고 사람마다 화목하고 행복 하라. 백성들의 태평성대를 꿈꿨던 어진 임금이 세운 도시, 수원. 유구한 시간을 두르고 있는 성곽을 따라가다 보면 만날 수 있는 오랜 세월이 깃든 풍경이 있다. 변함없이 그 자리에서 삶에 충실하며 시간을 쌓아온 사람들의 모습은 굳건한 성곽과 닮았다. 과거가 현재에 살아 숨 쉬는, 오래되었지만 생동감 있는 도시, 수원에서 를 일흔네 번째 여정을 시작한다. ▶ 팔달산 효원의 종 수원의 중심, 사방 팔달이 훤하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팔달산. 산을 오르는 길에 종을 발견하는 배우 김영철. 가족의 건강과 나라의 안.. 2020.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