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브 서사시(Slovanska epopej)는 20개의 기념비적인 캔버스(가장 큰 크기는 가로 세로 6m, 세로 8m)로 구성된 시리즈로 슬라브 민족의 역사와 문명을 묘사하고 있다. 알폰스 무하는 그것을 모든 슬라브 민족을 위한 기념비라고 생각했고 그는 예술적 경력의 후반부를 이 작품의 실현에 바쳤다.
이 작품의 발상은 1899년 결성되었으며, 무하는 1900년 파리 전시회를 위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에 의뢰해 온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관의 내부를 설계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임무 수행에 대비하여 그는 발칸 반도를 널리 여행하면서 그들의 역사와 관습을 연구하고 20년 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합병된 지역의 남부 슬라브 인들의 생활을 관찰했다. 이 경험으로 인해 새로운 프로젝트 즉, 자기 나라와 다른 모든 슬라브 민족의 '기쁨과 슬픔'을 그릴 '모든 슬라브 민족을 위한 서사시'의 창조에 영감을 얻었다.
1904년에서 1909년 사이에 알폰스 무하는 자신의 야심 찬 프로젝트를 지지해줄 후원자를 찾겠다는 희망으로 미국을 다섯 차례 방문했고 결국 1909년 크리스마스 날 시카고의 부유한 사업가이자 자선가인 찰스 리처드 크레인(1858~1939)의 후원을 확보했다. 크레인은 동유럽과 슬라보닉 문화의 정계의 발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하에게 거의 20년 동안 재정적, 정서적 부양책을 제공할 예정이었다. 무하는 1910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국으로 돌아왔다.
1911년과 1926년 사이에 알폰스 무하의 에너지는 슬라브 서사시의 탄생과 함께 차지되었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그는 서부 보헤미아의 Zbiroh Castle에 있는 스튜디오와 아파트를 빌려서 그가 거대한 캔버스 작업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넓은 스튜디오의 혜택을 받았다. 이 시리즈에서 그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슬라브인의 과거로부터 20개의 주요 에피소드를 묘사했는데, 이 중 10개는 체코 역사의 에피소드, 10개는 다른 슬라브 지방의 역사적 에피소드를 묘사하고 있다. 시리즈의 첫 번째 캔버스인 '본향의 슬라브인들 The Slabs in The Original Homeland'는 1912년에 완성되었고, 1918년에 마침내 그들의 고국이 된 모든 슬라브 인들의 승리를 기념하는 마지막 캔버스인 '슬라브 민족의 역사 찬미 The Afotherosis of the Slabs'로 전체 시리즈가 1926년에 완성되었다.
슬라브 서사시 무하(Slab Epic Mucha)와 함께 모든 슬라브인들이 공통의 역사와 평화와 학문에 대한 상호 경외심을 통해 단결하고, 결국 그들의 경험과 덕목을 이용해 인류를 위해 일하도록 고무시키기를 바랐다. 1928년 알폰스 무하Mucha와 Crane은 독립 10주년 기념일에 맞춰 국가에 대한 선물로 '슬라브 서사시' 전편을 공식적으로 프라하시에 선물했다.
No.1: 본향의 슬라브인들 The Slavs in Their Original Homeland (1912)
무하는 4세기에서 6세기에 슬라브 민족의 역사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때 슬라브 부족은 비스툴라 강 Vistula River, 드네프르 강 Dnepr River, 발트해 Baltic Sea, 흑해 Black Sea 사이의 습지에 살던 농민이었다. 이들을 뒷받침할 정치구조가 없는 그들은 마을의 집을 불태우고 가축을 훔치는 서구 출신의 게르만족의 끊임없는 공격을 받고 있었다.
지평선에서 마을이 불타면서 전경에 있는 덤불 속에 숨어 있는 부부는 이러한 공격 중 하나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이다. 그들의 얼굴에 표현된 공포와 전율은 보는 사람의 도움을 요구한다. 사제의 오른팔을 부축하고 있는 붉은 옷의 전사는 전쟁을 상징하며, 나뭇잎관을 머리에 쓰고 흰옷을 입은 처자는 평화를 상징한다. 전쟁과 평화를 상징하는 두 젊은이의 옆을 침략으로 고통받는 종족에게 부디 자비를 베풀어 주도록 신에게 도움을 청하는 고대 민간신앙 속 사제의 모습이 나란히 이 그림의 오른쪽 상단에 떠 있다. 이들 인물들은 전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할 때 슬라브 민족에게 다가올 평화와 자유를 예고하고 있다.
No.2: 뤼겐 섬의 스반토비트 축제 The Celebration of Svantovít (1912)
8-10세기에 슬라브족은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루자나 섬(현재의 독일 뤼겐) 아르코나 시에서는 슬라브계 이교도 신 스반토비트를 기리는 신전을 지었다. 매년 가을 스페인에서 온 순례자들은 매년 열리는 추수 축제를 기념하기 위해 사원으로 여행을 가곤 했다.
1168년 덴마크인은 루지나를 공격하여 신전을 파괴하였다. 발트 지역이 게르만 통치하에 들어오면서 스반토비트Svantovít는 발트 슬라브족의 옛 영광의 상징이 되었다.
무하는 사원 자체에 집중하기보다는 캔버스 밑 3분의 1에 흰 옷을 입은 축제 순례자들에게 집중하는 쪽을 택했다. 그들은 늑대 떼가 이끄는 다가오는 적과 싸우는 신들을 의식하지 못하는 것 같다. 불길한 하늘은 아래 햇빛이 가득한 광경과 대조를 이룬다. 그림 중앙 아랫부분에 아이를 안고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여인의 표정은 그녀의 종족에게 얼마나 애달픈 미래가 닥쳐올지 예감하고 있는 듯 음울해 보인다. 무하가 오늘날 독일 영토에 속하는 루야나 섬에서의 스반토빗 숭배를 작품으로 그려 낸 것은 슬라브족이 누렸던 과거의 영광과 초민족적인 영향력을 되살리고자 하는 자긍심의 발현이다.
No.3: 대모라비아 왕국에서의 슬라브어 예배의식 도입 Introduction of the Slavonic Liturgy in Great Moravia (1912)
독일 기독교 선교사들은 8세기 후반 모라비아 제국 전역에서 십자군 운동을 이끌었다. 로스티슬라프 왕자Prince Rostislav는 슬라브어의 종말을 막기 위한 시도로 살로니카 출신의 학식 있는 두 전도사, 키릴 Cyril과 메토디우스 Methodius를 고용하여 성경을 올드 교회 슬라브어로 번역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독일 주교들의 반대에 부딪혔고 메토디우스는 번역을 방어하기 위해 로마로 여행해야 했다. 그는 로마가 그의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데 성공했고 그의 노력으로 위대한 모라비아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성(聖) 메토디우스(Methodius, c825-885, Moravia 지방의 그리스인 전도사, Saint Cyril의 형으로, 둘다 슬라브의 사도使徒로 불리었다) 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Cyril, 375년~444년, 이집트의 로마 가톨릭 성인) 의 번역은 이후 수세기 동안 슬라브어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그들은 슬라브 민족의 가장 인기 있는 성인이 되었다.
알폰스 무하의 세 번째 구성은 대모라비아 왕국의 수도 벨리그라트를 배경으로, 모국어 예배의 시작을 기리는 작품이다. 로마에서 온 메토디우스 Methodius가 모라비아 대왕으로 돌아온 것을 그린다. 궁정 안마당의 높은 자리에 측근들로 에워싸인 스바 토플 루크(Svatopluk, c.840?-894) 왕이 앉아 있고 그 앞에 주교와 귀족들이 있다. 원형 건물인 로툰다 맞은편에 있는 제자 행렬의 선두에는 메토디우스가 존경의 표시로 무릎을 꿇고 두 팔을 부축하는 부사제들을 양 옆에 두고 중앙에 수염을 기르고 서 있는 사람이 메토디우스 Methodius 다. 로스티슬라프 Rostislav 왕자의 후계자 스바 토플 루크 Svatopluk 왕자는 구성의 맨 오른쪽에 있는 왕좌에 앉아 신부가 교황의 편지를 읽는 동안 귀를 기울이고 있다. 공중에 비잔틴 미술의 이콘처럼 묘사된 네 사람은 9세기 중엽에 그리스도교를 수용한 제1차 불가리아 제국 681-1018의 보리스 1세 부부와 9세기에 키예프 러시아를 세운 이고르 1세 왕 부부이다. 작은 배 위에 앉아 있는 것처럼 보이는 중앙 상단의 두 인물은 988년 키예프 공국에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인 성 블라지미르의 아들 글렙과 보리스로, 이들은 선원들의 수호신이자 상인들의 보호자로서 슬라브 민족 사이에 그리스도교가 닻을 내리게 됨을 상징한다. 전경에는 오른손에 주먹을 쥐고 동그라미를 든 청년의 모습이 슬라브 민족의 힘과 단결을 상징한다.
No.4: 불가리아의 황제 시메온 1세 Tsar Simeon I of Bulgaria (1923)
모라비아의 대주교인 메토디우스Methodius가 죽은 후, 스바 토플 루크 Svatopluk 왕자는 신약성서의 슬라브어 번역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그 추종자들을 모라비아에서 내쫓았다. 비잔틴 문학에 대한 열정이 있는 학식 있는 지도자인 불가리아 시메온 Simeon 황제는 그들에게 피난처를 주고 계속 일을 하도록 격려했다.
알폰스 무하는 바실리카의 벽을 장식하는 비잔틴 프레스코스에서 쫓겨난 슬라보닉의 추종자들을 불멸하게 한다. 그는 시메온 Simeon 황제는 그림의 중심에 배치하여, 교회와 궁정의 공식 성도들이 뒤로 밀려나는 동안 그의 학자들과 서기관들과 전경에 교신한다.
이 작품을 통해 무하는 시메온 황제의 계몽적 통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무하의 풍부한 색과 따뜻한 음색을 사용하는 것은 시메온의 지적 추구와 화려함과 고귀함을 포착한다면 그리고 인물에 이르기까지 시청자들의 시선을 끌어당긴다.
No.5: 보헤미아 왕 프르제미슬 오타카르 2세 King Přemysl Otakar II of Bohemia (1924)
프로제미슬 오타카르 2세 Přemysl Otakar II는 1253년부터 1278년까지 보헤미아를 통치했다. 그는 또한 군사력으로 '철의 왕'으로 알려졌고, 쿠트나 호라 Kutná Hora의 은광에 재산을 축적해 '황금왕'으로 불렸다. 그는 보헤미안 후손들의 평화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13세기 슬라브 군주들 사이에 긴밀한 연계를 구축한 책임을 맡았다. 브란덴부르크 Brandenburg의 조카 쿤 후타 Kunhuta가 헝가리의 벨라 4세 Béla IV의 아들로 결혼한 것을 계기로, 오타카르 1세(Přemysl Otakar I)은 참석자 전원과 지속적인 동맹을 맺기 위해 슬라브 통치자들을 초대했다.
프르제미슬 오타카르 2세는 그림 한가운데에 결혼식이 거행되는 휘장 안에서 하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주변에는 귀족들이 서 있다. 헝가리의 벨라 4세도 가족과 함께 참석했다. 예배당에 세워진 호화로운 천막의 중앙에 서 있는 왕은 두 명의 손님과 손을 잡고 우정을 표시한다.
No.6: 세르비아 왕 슈테판 두샨의 대관식 The Coronation of Serbian Tsar Štěpán Dušan (1926)
슈테판 뒤샨 Štěpán Dušan은 1300년대에 슬라브 영토를 확장하고 그의 제국 전체에 걸쳐 유효한 법전을 제정하는 책임을 지고 있었다. 1346년 비잔틴 제국에 대한 잇따른 군사적 승리에 이어 스코플레제(Scopleje)에서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의 차르(Tsar) 왕위에 올랐다.
이 에피소드에서 무하는 차르의 대관식에 이은 행렬을 그린다. 두샨 Dušan은 양쪽에 두 남자가 왕실 예복을 들고 행렬의 한가운데 서 있다. 이 행렬 속에는 보헤미아 왕국의 통치자 카렐 4세의 특사도 있다. 카렐 4세는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를 겸했고 슈테판 두샨은 동로마제국을 계승한 황제였다. 황제와 황후가 가는 길에 꽃잎이 달린 잔가지를 손에 든 처자들이 꽃을 뿌린다. 황제의 아들이 그 뒤를 따르고 바로 뒤에는 대관식을 거행한 세르비아 정교회 장로가 따르고 있다. 성직자, 유럽 황실의 특사들, 귀족과 하객들이 행렬 후미에 있다. 호화롭게 차려입은 귀부인들이 높은 연단에서 새로운 황제를 환영한다. 성당 앞쪽에 나란히 선 기사들도 황제에게 경의를 표한다. 이 행렬은 세르비아 민속 의상을 입은 어린 소녀들이 주도하며 젊은 세대가 범슬라브적 이상을 짊어질 것이라는 무하의 믿음을 전달한다. 무하는 신성로마제국과 동로마제국의 영광이 슬라브 인들의 손에 있었던 시대를 이 작품에서 넌지시 내비치고 있다.
No.7: 크로므네르지쥐의 얀 밀리취 Milíč of Kroměříž (1916)
크로모지치 Kroměříž의 밀리치 Milíč 는 찰스 4세 Charles IV의 교회와 궁정에서 책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학식 있는 젊은 신학자였다. 성직자들의 부도덕과 면죄부에 소름이 끼친 밀리치는 도시의 빈민들에게 일생을 바치고 교회의 위반에 대해 설교해야 할 의무에서 사임했다.
1372년에 그의 도덕적 가르침은 수많은 매춘부들이 병들고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회개하고 헌신하는 결과를 낳았다. 찰스 4세와 몇몇 시민들은 그 대의를 위해 재산을 기부했고 밀리치는 막달라 마리아에게 바치는 피난처, 예배당 및 수녀원을 설립했다.
무하 Mucha는 회개하는 매춘부들을 위한 피난처 건설을 그린다. 긴 회색 수염을 기른 푸른 장막 속의 겸손한 모습의 밀 리츠 Milíč가 발판 꼭대기에서 거리의 여자들에게 설교하고 있다. 여자들은 그의 말에 감화를 받아 몸에서 장신구를 떼고 참회한다. 전경에는 붉은 옷을 입은 여성이 험담을 하지 못하도록 재갈을 물린다. 이 작품은 공생하는 삶 속에서 고통받는 타인을 돕는 인간의 미덕을 표사했다.
No.8: 베들레헴 교회에서 설교하는 얀 후스 Master Jan Hus Preaching at the Bethlehem Chapel: Truth Prevails (1916)
1374년에 태어난 얀 후스(Jan Hus, 1372년? ~1415년 7월 6일)는 체코 개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성직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가톨릭 교회의 과잉을 거부하고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의 유일한 참된 원천이라고 주장했다. 1414년 그는 콘스탄스 평의회 앞에 자신의 가르침을 변호하기 위해 소환되었다. 신성로마 황제 지기스문트 Sigismund가 발행한 세이프 패스를 들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단자로 선언되었고 이듬해 화형에 처해졌다. 그의 죽음은 후 사이트 Hussite 전쟁에서 절정에 이른 체코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무하는 1412년 프라하의 베들레헴 예배당에서 후스 Hus가 사로잡힌 청중들에게 일반 대중이 알아듣기 쉽도록 모국어인 체코어로 설교하는 모습을 그린다. 후스파 Hussites의 미래 군사지도자인 얀 지슈카 Jan Žižka 장군은 왼쪽 벽 근처에 모자를 쓰고 흰 옷을 입은 사람이고 바쯜라프 4세의 부인인 소피아 왕비는 붉은 비단(보개寶蓋) 아래 양쪽에 시녀들과 앉아 열심히 듣고 있다.
No.9: 크리지쥐카히의 집회 The Meeting at Křížky (1916)
그의 가르침 때문에 목숨을 잃은 후, 얀 후스는 가톨릭 교회의 부도덕한 행위에 대항하는 체코 싸움의 상징이 되었다. 점점 더 많은 체코 성직자들이 교황 통치에 등을 돌리고 체코어로 설교를 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교황청에 의해 이단자로 선언되었고 콘스탄스 평의회는 그들을 그들의 교구에서 제거하라고 명령했다. 프라하에 있는 찰스 대학도 그들의 수업이 중단되도록 하기 위해 문을 닫았다. 폭동이 이어졌고, 후스의 추종자들은 반란을 일으키기 위해 도시 성벽 밖의 외딴곳에 모여들기 시작했다.
무하는 1419년 9월 30일 프라하의 남쪽 키이스키에서 열린 이 모임들 중 가장 중요한 모임을 묘사하고 있다. 급진적 설교자인 바쯜라프 코란다 Vaclav Koranda,?-1453 는 후스의 추종자들에게 신앙을 지키기 위해 팔을 들어줄 것을 요구했다. 고란다는 많은 추종자들이 Kikyky에 도착했을 때 오두막집 위에 임시로 만든 발판을 딛고 기도하고 있다. 위의 어두운 하늘은 곧 닥칠 후사이트 전쟁의 참화를 알린다.
No.10: 그룬발트 전쟁이 끝난 후 After the Battle of Grunewald (1924)
독일 가톨릭의 테우토닉 기사단 군사질서는 1400년대 초 발트 지역에 정착하여 이 지역의 이교도 부족들 사이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그 너머의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에까지 기독교를 전파하고자 하였다. 가톨릭 식민지화로부터 그들의 땅을 지키기 위해 슬라브족, 폴란드인, 리투아니아인들은 조약을 맺었다. 1410년 7월 15일, 동맹국들은 폴란드 그루네발트에서 치열한 전투로 투에토닉 기사단을 격파했다.
무하는 피비린내 나는 격전 다음날 동이 틀 무렵 전투 장면을 묘사하기로 했다. 폴란드 왕 블라디슬로우는 몸이 휘감긴 전쟁터 한복판에 서서 공포에 질려 얼굴을 가린다. 그의 나라는 자유로울지 모르지만, 이 자유는 어떤 대가를 치르고 찾아온 것이다.
그림내용: Mucha Foundation 사진: Wikipedia
알폰스 무하의 "슬라브 서사시 Slav Epic" No.11~No.20
'名畵 톺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네상스 명화] "천국으로 보내주소서… 예배당을 바칠 테니" [조토 디 본도네] 최후의 심판 The Last Judgment (0) | 2020.06.25 |
---|---|
[르네상스 명화] 라파엘로 산치오 Raffaello Sanzio의 삶과 작품 - 밀라노의 성모자와 세례자 요한 ("La Madonna Esterhazy") (0) | 2020.06.20 |
[르네상스 명화] 라파엘로의 4개의 방 - 서명(세냐투라)의 방, 보르고의 화재의 방 (0) | 2020.04.19 |
[르네상스 명화] 1주일 동안 라파엘로의 위대한 태피스트리가 시스티나 예배당으로 돌아 왔다. (0) | 2020.04.06 |
서양 미술사 연대표: 서양 미술 이동과 그 영향 (0) | 2020.03.29 |
댓글